"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고홍섭 교수 프로필
고홍섭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수이자 턱관절 장애 및 통증 치료 전문의입니다. 그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턴 및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후 구강내과 전임의로 근무했습니다. 이후 미국에서 구강생물학과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그는 대학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회장과 대한노년치의학회 학술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정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서로는 『구강내과학』, 『구강병의 진단과정 및 치료계획』 등이 있으며, 현재 구강건조증과 구강점막 통증 치료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진료실에서는 턱관절 장애 및 만성 통증 환자의 치료에 주력하고 있으며, 행동과학과 치의학의 관련성에 대한 강연도 하고 있습니다. 최근 EBS 방송에 출연해 턱관절 질환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턱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는 아래턱뼈와 머리뼈가 만나는 관절에서 발생하는 통증이나 기능 장애를 의미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입을 벌리기 힘든 경우, 두통과 목, 어깨 통증이 포함됩니다. 치료는 생활습관 교정과 약물 투여를 통해 이루어지며,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을 고려합니다.
턱관절 치료 운동
턱관절 치료를 위한 운동으로는 고개 돌리기, 어깨 스트레칭 등이 있으며, ‘666 운동’도 추천됩니다. 이 운동은 혀를 위 앞니에 대고 최대한 입을 벌려 6초 동안 유지하는 방식으로 하루에 6회 실시합니다.
출처 : 티스토리 피드